이것이 그렇게 좋다는데 저는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소니캐스트 디락플러스 관련) 먼지 쌓인 것들

주의: 저는 전문가가 아닙니다. 이 물건에 대한 평은 어디까지나 제 체감적인 것이라 다른 사람들과 의견이 다를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만 보고 구입을 고려해 보지 말고 다른 글도 보시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제 글만 보고 살 사람이 어디있겠냐 싶지만요.




최근에 산 물건이 있습니다.


음향기기에 큰 관심이 없어서 쓰는 브랜드만 쓰던 저 조차 평이 좋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소니캐스트 디락. 그 후속기기인 디락 플러스를 질렀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이어폰 관련으로 이렇게까지 돈을 쓴 적은 없었습니다. 정말 그쪽 분야의 분들에게는 5만원이 '겨우' 겠지만 저에게는 매우 큰 돈이거든요. 나름 블록버스터급(?)

이번 제품은 언더케이지와 콜라보 한 모양인데 일반판과 다른건 띠지 정도?




포장을 열면




케이스와 이어팁, 클립이 있습니다. 이어팁은 스몰과 라지가 한짝씩이고 미디엄이 두짝입니다.




내부에는 이렇게 감겨 있습니다.



성능 좋다고 해서 매우 기대를 하고 사용해봤습니다. 그리고 평을 하자면





솔직히 말하자면 처음에는 '글쎄올시다?' 였습니다.

갤럭시S7에 소니 MDR-1000X, 오디오 테크니카 ATH-FC700과 비교를 했죠. 차이는 체감적으로 있긴 했지만 그것들과 비교해서 그렇게까지 좋은가? 싶은 정도는 아니였습니다. 뭐, 40만원 넘어가는 MDR-1000X와 비교를 해서 더 좋은걸 바라는것 자체가 도둑놈 심보긴 하죠.

헤드폰과 비교하는것도 좀 부적절하긴 했죠. 아무래도 헤드폰과 이어폰은 음질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죠.

그래도 비교를 위해서 방 어딘가에 박혀있던 이어폰을 이용해서 비교해서 들어봤죠.



오른쪽은 이번에 산 디락 플러스, 가운데는 삼성의 번들이어폰인 HS300, 그리고 왼쪽은 바티칸시국에서 공짜로 주는 초 싸구려 모노 이어폰입니다. 왼쪽은 정말 못들어주는걸 바티칸 기념품이랍시고 가지고 있는거고(…) 가운데는 비상용으로 가지고 있었는데, 디락 플러스를 쓰다가 이걸 들어보니 소리가 영 아니더군요. 아무리 구모델 번들이어폰이라고 해도 이건 너무 심할정도로 차이나는게 아닌가 싶을 정도 였습니다. 확실한건 디락 플러스가 좋은 음질의 물건이라는건 확실하다는걸 깨달았죠.


지금까지 써 본 이어폰 중에서는 최고의 물건입니다. 이어폰에서 처음으로 고음질 파일과 저음질 파일을 분간할 수 있는 물건이였지요. 그렇다보니 위에서 말한 '글쎄올시다?' 라는 평은 계속 써 보니 '지금까지 써 본 이어폰 중에서는 최고'로 바뀌었습니다.





결론: 사실 비교용 이어폰을 어디에 짱박았는지 기억이 안나서 이어폰을 새로 사서 비교할까 생각을 했었습니다.

비교대상은



트위터에서 음질 좋고 평 좋다고 소문난 비플랫
















제가 얼마나 미친 생각을 했는지 깨닫는데는 대충 반나절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나름 비교는 해 보고 싶지만 돈 버릴 생각은 없거든요.

덧글

  • PFN 2018/03/17 01:45 #

    행운을!
  • 로그온티어 2018/03/17 18:52 #

    그 미친생각이 낭비가 될 거라고 생각하셨다면... 이미 낭비한 겁니다. 이미 늦은 거죠.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유사역사아웃

마우스오른쪽금지